넷플릭스, 유튜브, 디즈니 플러스를 비롯하여 요즘은 TV보다는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OTT 서비스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즐기고 정보를 얻는 일이 일상화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뉴스 등 언론 보도를 통해서도 OTT라는 말을 자주 접해보셨을 텐데요, 오늘은 OTT라는 단어가 생소하신 분들을 위해 OTT 뜻과 OTT 서비스 플랫폼의 순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OTT 뜻
OTT는 영어 Over The Top의 약자입니다. 이때 Top은 셋톱박스를 뜻하는데요, 이는 OTT 서비스 초기에 인터넷 기반의 동영상 서비스가 TV 셋톱박스와 같은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졌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최근의 OTT 서비스는 셋톱박스의 유무를 떠나 PC, 스마트폰 단말기를 비롯하여 기존 통신사나 방송사가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인터넷 기반 동영상 서비스가 모두 포괄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통용되는 OTT 뜻은 기존의 통신 및 방송 사업자와 더불어 제3의 사업자들이 인터넷을 통해 드라마나 영화 등의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OTT 플랫폼
요즘은 유튜브와 넷플릭스의 전성시대인 것 같습니다. 특히 MZ세대의 경우 OTT서비스를 메인으로 시청하면서 TV 프로그램을 알게 되거나 TV는 일부만 보는 경향이 짙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TV 시청자들조차 이제는 점점 OTT 서비스로 옮겨가고 있는 상황인데요, 상황이 이렇다 보니 OTT 플랫폼들도 유료 방송보다 저렴한 가격을 내놓고 케이블이나 IPTV 등 방송사업자와 경쟁하게 되었습니다. 우선 OTT 플랫폼의 대표적인 초기 사업자로는 미국의 넷플릭스와 훌루가 있으나 지금은 그 수가 급증하였습니다. 이에 OTT 플랫폼의 순위에 대해서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OTT 순위
최근의 한 조사에서는 OTT 순위에서 유튜브를 제외하고 사용자 수 1위가 넷플릭스로 나왔다고 합니다. 1년 만에 거의 이용자 수가 두 배 이상 증가해 현재는 천만 이용자를 확보하며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OTT 순위 2위는 웨이브였다고 하는데요, 월 이용자가 400만에 가까운 정도의 규모이며 웨이브에 이어 이용자 수 265만 인 티빙, 213만 인 U+ 모바일 tv가 뒤를 이었고 왓챠는 139만으로 집계됐다고 합니다. 전 세계적으로는 디즈니 플러스가 1억 명에 가까운 구독자수를 보유하며 한국 시장에도 진출해 경쟁이 가속화되기도 했는데요, 이외 애플 TV+까지 국내 OTT 시장에 합세해 시청자들로써는 선택의 고민이 깊어지게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OTT 뜻과 OTT 플랫폼 순위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국내 OTT 시장의 규모가 지난 7년새 4배 가까이 성장하며 우리나라 국민 2명 중 1명꼴로 OTT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2021년 자료에 따르면 유료 OTT 이용률만 50%에 근접했다고 합니다. 사실상 대다수의 국민들이 OTT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셈입니다. OTT 뜻과 플랫폼 순위에 대해 알아두는 것이 좋은 이유인 것 같습니다.
메타버스 관련주 정리
메타버스 관련주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거대한 나무를 그려봐야 한다고들 합니다. 국내 메타버스 관련주는 대부분 열매에 해당하는 기업이라고 하는데요, 글로벌 시장에는 메타버스라는 나무의
abouthongkong.ontactlife.com
지옥 관련주 정리
지난 19일 넷플릭스 한국 오리지널 시리즈 지옥이 공개 하루 만에 넷플릭스 전 세계 시리즈 1위를 차지하며 지옥 관련주에 대한 관심도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는 오징어 게임의 공개 6일 만에 1위
abouthongkong.ontactlife.com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이징 동계올림픽 보이콧과 이유 (0) | 2021.12.14 |
---|---|
금리인상 수혜주 정리 (0) | 2021.12.14 |
러시아 백신 관련주 정리 (0) | 2021.12.13 |
탄소중립 관련주 정리 (0) | 2021.12.13 |
테이퍼링 뜻 효과 (0) | 2021.1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