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묘서동처 뜻 2021 사자성어

by storywriter 2021. 12. 25.
반응형
728x170

묘서동처 뜻이 올해를 대표하는 사자성어가 되었습니다. 매년 연말이 되면 교수신문을 통해 그해 한국사회를 정의하는 사자성어가 선정되어 발표되는데요, 이메일을 통한 설문조사를 거쳐 전국의 대학교수 880명이 각 2개씩의 사자성어를 뽑아 선정되었다고 합니다. 총 6개의 사자성어가 후보에 있었던 것으로 전해지는데 그중 29.2%를 받아 묘서동처 뜻이 2021년의 사자성어로 선정되었다네요. 이에 이번 기회를 통해 묘서동처의 뜻과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묘서동처 뜻

 

묘서동처 뜻

 

묘서동처 뜻

 

묘서동처(猫鼠同處)는 고양이 묘, 쥐 서, 함께할 동, 있을 처의 네글자가 합쳐진 말로 그 뜻은 고양이와 쥐가 함께 있다는 말입니다. 쥐는 보통 굴을 파고 들어와 곡식을 훔쳐 먹고 고양이는 쥐를 잡기 때문에 원수 사이지만 나쁜 짓을 함께 저지르는 것을 지적한 것으로 쉽게 말해 도둑 잡을 사람이 도둑과 한패가 됐다는 뜻입니다.

 

 

묘서동처는 구당서(중국 후진 때 당나라 역사를 서술한 책)와 신당서(구당서를 북송때 수정한 책)에 묘서동유(猫鼠同乳)라는 말과 함께 나온다고 하는데요, 묘서동유는 고양이와 쥐가 같은 젖을 빤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묘서동처 뜻

 

구당서의 내용에 따르면 한 지방 군인이 집에서 고양이와 쥐가 서로 해치지 않고 같은 젖을 빠는 모습을 보았고 그의 상관이 그 고양이와 쥐를 임금에게 바쳤다고 합니다. 그러자 중앙관리들이 복이 들어온다며 기뻐했지만 한 관리가 이들이 정신을 잃었다며 한탄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묘서동처 선정의 의미

 

묘서동처 뜻

 

묘서동처를 추천한 것으로 알려진 영남대 철학과 최재목 교수는 묘서동처를 추천한 이유에 대해 여야 간에 입법과 사법, 행정의 잣대에 대한 의심과 불공정 시비가 끊이질 않았는데 국정을 책임지고 공정한 법집행을 감시해야 할 사람들이 이권을 노리는 사람들과 한통속이 된 상황을 수시로 봤기 때문이라고 전했습니다.

 

 

묘서동처를 뽑은 또 다른 교수들도 권력자들이 한패가 되어 부정을 저지르고 있다는 이유를 가장 많이 꼽았고 다산 정약용의 우화시 ‘이노행’을 인용하여 단속받는 자와 단속하는 자가 야합하면 못 할 짓이 없다는 말로 설명을 대신한 교수도 있었다고 합니다.

 

 

묘서동처를 선택한 교수들은 비슷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초록은 동색이라는 말처럼 여야를 막론하고 정치 지도자들의 행태가 공리보다 사욕에 치우쳐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리더로 나서는 이들의 도덕성에 의구심이 가득하고 상대적으로 덜 나쁜 후보를 선택하여 국운을 맡겨야 하는 상황인 듯하다며 내년 대선을 걱정하는 이들도 있었다고 합니다.

 

묘서동처 뜻

 

묘서동처와 더불어 2021년의 사자성어 후보로 올라온 말들은 인곤마핍(사람과 말이 모두 지쳐 피곤하다), 이전투구(자기 이익을 위해 개처럼 다투는 것), 각주구검(판단력이 둔해 융통성이 없고 세상일에 어둡다), 백척간두(몹시 어렵고 위태로운 지경), 유자입정(물에 빠진 아이를 구하는 심정으로 서민들의 삶을 보살펴야 한다) 등이 있었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묘서동처 뜻

 

지금까지 2021년 사자성어로 선정된 묘서동처 뜻과 그 의미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2022년은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의 확산을 시작으로 대선이라는 중요한 정치적 과업을 앞두고 있는 해입니다. 묘서동처라는 말이 2021년을 나타내는 사자성어로 선정된 현실에 안타까운 마음이 들긴 하지만 다가올 2022년은 더 좋은, 희망찬 일들이 많이 생겨 반전이 있는 해가 되길 바랍니다.

 

 

 

 

2022년 띠 좋은띠 삼재띠

2022년 띠는 호랑이띠라고 합니다. 2022년이 육십 간지 중 39번째에 해당하는 임인년(壬寅年)이라고 하는데요, 이때 임이 흑색을, 인이 호랑이를 의미한다고 하여 내년은 검은 호랑이의 해가 됩니

abouthongkong.ontactlife.com

 

 

2022년 최저임금 총정리

2022년 최저임금 적용을 일주일 정도 앞두고 있습니다. 2021년 최저임금은 8720원이었는데요, 새해부터 적용되는 2022년 최저임금 금액과 인상률, 월급, 실수령액, 주휴수당 등 관련된 정보를 총정리

abouthongkong.ontactlife.com

 

반응형
그리드형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지산 폭발 가능성과 지진과의 관계  (0) 2021.12.28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이모저모  (0) 2021.12.26
2022년 최저임금 총정리  (0) 2021.12.24
2022년 띠 좋은띠 삼재띠  (0) 2021.12.23
전태일 열사 이야기  (0) 2021.12.22

댓글